🚢기술을 이롭게
🧒🏻플레이워크
🙌🏻선호하는 미래
🗣부암 거실
🧚🏻그 외
🦀책
🧬일의 여정
기술을 이롭게
LED
광주 광산업 단지에 있는 포에프에서 LED 기술 해외 영업을 하였다.LED와 관련된 신소재를 이용한 신호등, 그리고 조명 및 제어장치 등을 브랜딩하고 국내외에 영업하고 마케팅하며, 상용화된 기술을 도시에 접목시키려면 어떤 정책적인 다양한 과정을 나라마다 거쳐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그때 암스테르담에서 광저우로 여러 곳을 다니며, 신호등이 얼굴인 마냥 알리고 다녔다.그리고 수주가 많이 들어오는 날은 공장에 가서 LED 소자를 납땜질하며 신호등을 만들었다. 납땜에는 소질이 없다.
모바일 하버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에서 국가 원천기술을 알리고 연결하고 함께 일할수 있게 장을 만드는 과학기술 국제협력 기획자로서 일을 시작했다. 콘테이너선이 항구에 물류는 언로딩하기 위해 긴 시간 정박하고 물류를 이동하는 세계 항만과 물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움직이는 항구를 만드는 모바일하버 (Mobile Harbor) 라는 조선사업 분야에서 일했다.
약 500명의 연구가, 전문가, 기술자, 정책가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일 할 수 있게 어려운 기술을 일상의 언어로 바꾸어 대화할 수 있는 역량을 탑재 한다. 예를 들면, 오만가지 센서를 이용한 ZMP (Zero Moment Point) 라는 기술은 " 당신이 배를 타면 멀미하지 않거나 덜 할 수 있는 기술이다."와 같이 말이다. 그리고 각각을 개체화 시키고 연결성을 고려해 함께 일할 수 있는 아젠다를 기획하고 그 장을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하는 역량을 탑재 한다. 이때 부터 정부의 원천 기술 연구 사업으로 뛰어들고, 전사처럼 일하다 번아웃이 자주 오기 시작했다.
모바일하버
영업비밀 원본 증명 서비스
한국특허정보원(KIPI) 에서는 영업비밀 원본 증명 서비스 (Trade Secret)를 대민에게 알리고 컨설팅 하는 전문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영업비밀 원본증명 서비스
해양바이오
한국 해양과학기술 진흥원 (KIMST) 에서는 해양 바이오 국제컨퍼런스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과학기술 국제협력 연구원으로 들어갔으나, 타 국가가 이 컨퍼런스를 하는것으로 결정이 되고 이곳에서 연구비 감사를 하며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에상치 못한 영화 같은 상황에 "아,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구나! 내가 그 엘리스구나 지금!" 라는 것을 절실히 느끼며 회색의 세상을 벗어나 나는 누구인지 찾아가는 방황의 시간을 갖었다.
브라질 국경없는 과학
브라질 국경없는 과학 (Science without Borders) 과학기술 국제협력 기획자 그리고 프로그램 메니져 일했다.브라질 과학기술 상위 1%학생들이 한국 우수의 대학에서 교육도 받고 스타트업 부터 대기업까지 1년에 두번을 인턴쉽을 경험하며, 자신의 나라에 돌아갔을때 이를 연결하고 영향력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일이었다.
교육부 산하기관의 한국산학진흥원(KIMST)에서 처음 맡는일이기도 했으나, 다양한 산학연과 연결하고 니즈를 분석한 후 약 200개의 인턴쉽 포지셔닝을 만들어 정반대에 있는 나라 브라질과 한국이 이렇게나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되고, 배움과 직업의 연결 선상에서 이렇게나 많은 기회가 있음을, 배움과 직업을 연결시키는 시스템을 만들어 가는 일을 하였다. 사람과 사람의 연결 작업 이었다.
브라질 국경 없는 과학
이때 소위 엘리트라고 불리우는 나와 너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문제, 그리고 사회 전체의 여유 없고 무엇이 되어야만 진짜 삶인것 같은 경쟁에서 '자기다움' 이라는 화두를 가지고 Seoul Jams, Heart runner 와 같이 다양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퇴근 후 또는 주말에 기획하고 운영했다.
플레이워크
플레이워커 오은비
현재는 어느덧 11년차 플레이워커 (Playworker) 로서 일하며, 놀이하는 도시가 될 수 있게 팝업플레이 서울을 통해 커뮤니티 안에서 다양한 실행을, 플레이워크 코리아를 통해 이해관계자와 함께 놀이의 본질과 가치로 연구하고있다.
"다른 어린이들, 놀 시간, 놀 공간, 어른들의 태도"
특히 한국의 어린이가 집 근처에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른 어린이들과 즐겁게 놀 수 있는 당연한 상황이 당연한 상항이 아닌 유토피아 빌리지 (Utopia Village) 를 꿈꾸며, 그들의 놀 시간, 놀 공간, 어린이들을 찾고 어른들의 태도를 변화 시키며 어린이의 놀 권리 옹호하기 위해 '어린이의 놀이 환경을 연구하고 지원하는 플레이워크 (Playwork)'를 다양한 분야와 협업하며 Design for Play Circumstance를 연구하고 실천하고 있다.
'플레이워크'란?
커뮤니티 내 어린이들의 놀 공간 및 시간을 확보하고 어른들의 태도를 변화 시키며 어린이의 놀이 환경을 지원하는 일 이다. 어린이가 자신의 호기심과 하고싶은 것을 중심으로 놀이 할 수 있게 그들의 놀이를 지시하거나 통제하지 않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실행을 바탕으로 '어른의 개입을 최소화' 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플레이워커'란?
플레이워커는 어린이들이 스스로 놀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어린이 중심의 놀이터를 만들며 놀 수 있는 시간, 장소, 사람, 관계 등 유무형의 자원을 엮어가는 사람이다.
자신의 존재를 거의 드러내지 않으며, 어린이의 풍부한 놀이 환경을 만든다. 위험이 없는 놀이 환경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들이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위험을 제공하기 위해 위험을 평가하며 놀이 환경을 지원한다.
어린이 스스로 놀이의 본질과 가치를 바탕으로 자기 다움과 다양성 그리고 새로움을 시도할 수 있게 플레이워크의 태도, 이론, 테크닉, 개입, 관찰, 되돌아 보기 등의 연구와 실행을 토대로 어린이의 놀이 환경을 지원한다.
팝업플레이 서울
2015년에 설립된 팝업플레이 서울(Popup Play Seoul)은 플레이워크(Playwork)연구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놀이 환경을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한다.
🔸팝업플레이 서울 웹사이트
🔸팝업플레이 서울 인스타그램
🔸팝업플레이 서울 페이스북
🔸팝업플레이 서울 블로그
🔸팝업플레이 서울 유투브
🔹팝업플레이 서울 브로셔
🔹팝업플레이 서울 연구실행 보고서
popupplay.seoul@gmail.com
놀땅 공인중개사
놀이 가능한 땅을 찾고 기록하고 제보받고 중개하는 '놀땅 공인 중개사'이다.
놀땅 인스타그램
놀땅 아카이브
놀땅 체크리스트
상상력 연구소
출판사이자 연구소인 '상상력 연구소' 는, 다음 세대가 잘 사는것을 (Holistic Well-Being) 연구하고 실행하며, 특히 어린이가 주도적으로 창의적 학습 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활동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다.
🤖기술이 이롭게 쓰이는(Tech 4 Good)|🌍전 지구적 과제를 해결하는(SDGs)|🧒🏻하고 싶은 것을 하며 자기다움을 찾아가는(Searching Self-Hood)
상상력 연구소 웹사이트
상상력 연구소 인스타그램
선호하는 미래
선호하는 미래 디자인 스튜디오
기술은 결국 사람이 만들고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라는 생각에, '선호하는 미래'를 함께 상상하고 '기술이 이롭게 사용 (Tech 4 Good)' 될 수 있게 다양한 이들과 다채로운 장을 여는 스펙큘레이티브 디자인 스튜디오 또는 위성 학교 또는 열리고 연결된 배움의 공간을 꿈꾸며, 나와 너 그리고 우리의 연결을 새롭게 시작하고 더듬이를 올리고 손과 발을 움직일 준비를 하고 있다.
선호하는 미래 인스타그램
부암 거실
모두의 거실
부암 거실 (Buam Livingroom)을 남편과 함께 운영중이다.
부암 거실 인스타그램
그 외
Color Me Rad 5K
Color Me Rad 5K '스페셜 마라톤 마케팅 기획'을 하며 다양한 세대가 함께 즐기는 장과 스포츠 마케팅의 중심 가치에 대해 일하며 배웠다. 스포츠 메가 이벤트 에서 중심적인 가치가 지켜지지 않으면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추후에 멀리서 지켜보며 알게 되었다.
PLAY EXPO
어린이의 놀 권리 옹호를 위해 '세상에서 가장 큰 놀이터'라는 슬로건으로 한 'Play Expo'기획 총괄로 몇 만명이 참여하는 행사를 기획하고 운영했다.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 같지만, 결국은 어린이가 아닌 어른의 이기가 들어감을 알게 되기도 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마을에서의 활동을 다시 시작하기로 맘먹는다.
세상에서 가장 큰 놀이터
Back to Basics
'우리가 하는 일로 평가되기보다 존재로 인식되어지기를 바라며. 함께 본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요.' 라는 모토로 'Back to Basic' 라는 국제컨퍼런스를 기획하고 운영하며 다른이들과 함께 삶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며 실험해 보았다. 이때 Social Impact 분야에서 일하는 친구들과 함께 놀며 일했다.
Back to Basics
Startup
즐겁게 함께 일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내 어떤 요소가 있을지 Well Working Group 에 대해 연구하고 실행해보며, 스타트업의 건강한 생태계를 꿈꾸며 종종 친구들과 Bigdata , Wellbeing 이라는 주제로 해커톤을 열기도하는 Startup Weekend Seoul의 Organizer 로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창업과 또는 프로젝트의 시작점에 있는 이들을 지원하는 코치로서 기아자동차 Seeds School, 한양대 소셜벤처 부트캠프와 APYE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스타트업 위켄드 서울
Artpreneur
예술가가 창업가로서 Artpreneur 로서의 과정을 이어갈 수 있게 로보틱스, AI, 블록체인, AR/VR/MR, IoT, 미디어 아트, 사운드 아트, 공연 예술, 앱 개발 등 다양한 분야를 이해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퍼실레이터 또는 코치로서 지원하기도 한다.
책
동화책 '게 이야기'
OH! My Crab 게 이야기 | 글.그림 :오은비
과학기술 국제협력 분야에서 일을 해왔지만, 현재는 다음세대가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연구하며 놀이판안에서 어린이들과 함께 삶의 태도를 배우며 실험하는 중이다.
진초록의 싱그러운 모든 것 그리고 보사노바를 등을 때의 기분과 공기, 그 리듬을 좋아한다. 다양한 곳에서 위트있는 바이브의 사람들을 만나 이런 저런 삶을 경험해 보길 꿈꾼다. 다장조 작곡가이다.
제주 가시리의 한 오름에서 집 나온 말의 집을 찾아주었던 여정에 영감을 받아 이야기를 그리고 만들게 되었다. 에디션 형태의 이야기책으로서 ‘게 이야기’를 시작으로 독자를 만날 예정이다. 이번 이야기를 통해 나는 진정 무엇을 원하고 어떤 길을 만족하며 걸어가고 싶은지 질문 할 수 있는 시작이 되길 바라본다.
VIDEO
일의 여정
CV
ENG CV
KOR CV
다능인
휘뚜루 마뚜루 좌충우돌 일한 여정이 '다능인'으로 표현되며 아동청소년이 보는 잡지에 소개되기도 했다.
다능인 오은비